전체 글29 다회용(리유저블) 컵 바로알기 - 2탄 앞의 1탄에서는 다회용(리유저블) 컵의 정의와 사용 목적 그리고 일회용 컵과의 차이점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했다면, 2탄에서는 다회용(리유저블) 컵의 사용 횟수와 사용 시 주의사항이 있는지에 대해서 작성하고자 합니다. 다회용(리유저블) 컵의 사용 횟수가 정해져 있을까요?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면 언제까지 사용할 수 있을까요? 다회용(리유저블) 컵의 사용 횟수 스타벅스코리아 2021년 8월 초, 스타벅스코리아는 자동차 브랜드 MINI코리아와 협업하여 선보인 음료 및 기획상품을 선보였는데 이때 신차 색상을 적용한 음료를 다회용(리유저블) 컵에 담아서 제공했습니다. 다회용(리유저블) 컵과 함께 제공된 설명서에는 '리유저블 컵은 재활용이 가능하며 제품의 특성상 가급적 20여 회 사용을 권장드립니다'라고 작.. 2022. 10. 18. 다회용(리유저블) 컵 바로알기 - 1탄 다회용(리유저블) 컵이라는 용어의 정확한 정의와 다회용(리유저블) 컵은 어떤 목적으로 사용되고 기존 일회용 컵과의 차이점에 대해서 공유하고자 합니다. 국립국어원은 '리유저블 컵'을 대체할 쉬운 우리말로 '다회용 컵'을 선정했기에 지금부터 작성하는 포스팅에서는 리유저블 컵 대신 다회용 컵이라는 명칭으로 작성하겠습니다. 다회용(리유저블) 컵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작성하기 전에 먼저 '리유저블'의 정의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. 리유저블의 뜻 reusable : 재사용 가능한, 재사용 할 수 있는 (형용사) 한마디로 여러번 사용이 사용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. 다회용(리유저블) 컵이란 영어단어의 뜻처럼 재사용 할 수 있는 컵이라는 뜻입니다. 여러번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. 즉,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컵을.. 2022. 10. 14. 텔로미어 연합단백질(telomere-associated proteins) Telomere-binding proteins(텔로미어 결합 단백질) 현재까지 포유류에서 발견된 텔로미어 DNA에 염기서열 특이적으로 그리고 직접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텔로미어 단백질은 TRF1, TRF2, POT1입니다. TRF1 - 텔로미어 길이 유지의 음성적 조절(negatively regulated) TRF2 - 텔로미어 말단 보호에 중요한 조절 역할 POT1 - 단일가닥 DNA 부분인 텔로미어 TTAGGG overhang에 결합 TRF1과 TRF2는 각각 동형 이량체(homodimer)를 형성하여 TTAGGG 이중가닥(double-stranded) 서열에 결합할 수 있습니다. POT1(Protection of Telomeres 1) 단백질은 대조적으로 단일가닥(single-stranded) TT.. 2022. 7. 10. 텔로미어의 구조 유전체를 안정화하는 요소로서의 텔로미어 척추동물(Vertebrate)의 텔로미어는 최종 3'-말단에 단일 가닥의 돌출 부분과 반복 염기서열 TTAGGG(human)를 포함한 수천 base pai의 이중가닥 DNA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텔로미어는 염색체(chromosome) 말단 구조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. 이 말단 구조는 'Lasso-like structure(올가미 유사 구조)'로 't-loop(telomeric-loop)'라고도 불리며 3'-말단 G-rich strand('G-tail' 이라고도 불림)가 이중가닥 DNA의 C-strand와 짝을 이루어 안으로 묻히게 되어 'end-capping' 구조를 형성합니다. 이중가닥(duplex strand)의 G-strand는 치환.. 2022. 7. 10. 이전 1 2 3 4 5 ··· 8 다음